천계영 작가/넷플릭스 ‘좋아하면 울리는’ 제공 © 뉴스1

(서울=뉴스1) 윤효정 기자 = “얘들아 언니가 꽃미남 많이 그려줄게. 너희는 행복하기만 해.”

1996년 데뷔작 ‘탤런트’부터 2019년 ‘좋아하면 울리는’까지, 소녀들에게는 천계영 ‘언니’가 있었다.

천계영은 말한다. 10대 시절에 순정만화를 보면서 위로를 받았듯이, 자신 역시 언제나 10대 소녀들에게 힘이 되는 존재이고 싶다고. 그는 꽃미남과의 로맨스를 담은 단순한 순정만화를 넘어 독보적인 스타일을 구축한 ‘천계영표’ 순정만화들을 탄생시켰다. 재기발랄한 캐릭터와 화려한 터치, 현실에 발을 붙이고 있으면서도 무한한 상상력을 더한 소재들은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됐다. ‘언플러그드 보이'(1997)와 ‘오디션'(1998) ‘예쁜 남자'(2009)을 내놨다.

종이책에서 스마트폰으로 옮겨가는 만화 시장의 변화에서도 천계영은 뒤처지지 않았다. 지난 2015년 포털사이트 다음 웹툰에 ‘좋아하면 울리는’ 연재를 시작했다. 여전히 그가 사랑하고 그를 사랑하는 10대의 이야기에 사랑과 ‘좋알람’ 앱을 녹였다. 좋아하는 사람이 반경 10미터 안에 들어오면 알람이 울리는 ‘좋알람’이라는 기발한 상상력을 만화로 풀었다. ‘좋아하면 울리는’은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드라마로 제작돼 지난달부터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넷플릭스를 통해 상영되고 있다.

지난해 천계영에게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종양 제거 수술과 손가락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해 더 이상 손으로 만화를 그릴 수 없었고 스스로도 ‘만화가 인생의 가장 큰 위기’였다고 했다. 그러나 그는 목소리’로 명령을 수행하는 컴퓨터 기술로 통해 여전히 만화를 그리고 있다. 다소 느리고 버겁지만 오늘도 그는 만화가 천계영으로 산다. 좋아하는 영화라 수십 번을 봤다는 ‘매드맥스’ 포스터가 가득 붙은, 고양이 ‘시즌이’가 함께 사는 서울 을지로의 작업실에서 천계영을 만났다.

다음은 천계영과 일문일답.

-‘좋아하면 울리는’의 처음으로 돌아가보자. 어떻게 기획한 작품인가.

▶원래 준비한 것은 삼각관계에 초점을 맞춘 ‘세상에서 제일 짜증나는 삼각관계’였다. 감정의 ‘경우의 수’에 초점을 맞췄는데 담당 프로듀서는 별로 재미가 없다고 하더라. (웃음) 끌리는 포인트가 없다고. 그러면서 ‘연애 데스노트’ 같은 아이디어는 어떠냐고 했는데 나는 그걸 ‘앱’으로 풀어보고 싶었다. 연애 앱이라면 어떨까. 데스노트는 이름을 적으면 죽는 건데, 연애 앱은 연애 감정이 드러나는 거다. 처음 구상한 것은 휴대전화 자체의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하는 것이었다. 예컨대 누군가의 메시지에는 주저하거나 답을 고민한다든지 그런 식으로. 그런데 빚쟁이에게 연락왔을 때 주저할 수도 있으니까 패턴이 달라질 수도 있더라. 휴대전화 밖의 현실공간에서도 감정의 불꽃이 확 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하다가, 반경 10미터에 들어오면 좋알람이 울리는 콘셉트를 떠올렸다. 그 안에 삼각관계를 넣으니 너무 좋은 이야기들이 나왔다.

웹툰 ‘좋아하면 울리는’/넷플릭스 제공 © 뉴스1

-왜 10대들의 이야기를 생각한 건가.

▶이 설정이 재미있으려면 ‘모두’가 쓰는 앱이어야 한다. 그런데 전국민이 쓰는 앱이란 사실 불가능한 얘기다. 이걸 설득력있게 그리려면 학교라는 다소 닫힌 공간에서 유행처럼 퍼지는 모습이 필요했다. 10대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지는 모습이 그려진다면 그 유행이 더 확산되는 것도 설득력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천계영이 바라본 요즘 10대는 어떤가. 어떤 모습을 담고 싶었나.

▶’요즘’ 애들이라고 표현하지는 않았다. 나는 10대는 영원히 10대라고 생각한다. ‘언플러그드 보이’의 대사처럼 요즘의 10대도 ‘슬플 때 힙합을 춰’일 수도 있다. 중요한 건 ‘슬플 때’였고, 10대가 공감한 포인트라고 생각한다. 변한 것은 교과 과정과 입시 정책일 뿐이지 10대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같다고 본다. ‘요즘 애들’이라고 말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아이들의 변치않는 마음이 있다. 나 역시 10대에 겪은 기억이 지금까지 생생하게 느껴진다. 그래서 요즘 애들이라고 생각하고 접근한 것이 아니라, 나의 10대에 느낀 감정들을 떠올리면서 접근했다. 지금의 10대 친구들도 나를 ‘언니’라고 부른다. ‘언니, 우리 엄마랑 나이가 똑같아요’라면서. (웃음) 그것도 귀엽지 않나. 그 친구들이 ‘어떻게 우리의 마음을 그렇게 잘 아냐’고 묻는데, 이유는 내가 그 나이에 겪었던 감정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좋아하는’ 모습만 나올 줄 알았는데, 좋아하면서 일어나는 일들이 상상 이상이었다. 좌절, (동성애) 아웃팅, 실연 등.

▶감정의 불꽃놀이를 담고 싶었다. 그 감정이라는 것이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좋알람’에서는) 선명하게 나온다. 이름 붙이지 못 했던 감정들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싶었다. 인물별로, 상황별로 느끼는 다양한 감정들을 짚어주고 싶었고, 작업하면서 책상에 ‘돌다리처럼 꼭 짚고 가자’는 글을 붙여놓기도 했다. 허투루 담지 않으려고 했다.

-좋알람이 실제로 가능할까.

▶지금은 어렵다. 많은 이들이 ‘좋알람’에 쓰인 기술이 뭐냐고 묻는다. 우리가 무엇을 상상하든 그 기술은 아니라고 답하고 싶다. 예컨대 인공지능, 빅데이터, 생체인식 등등의 이름을 붙이는 순간 그 기술은 촌스러워지는 거다. 구체적인 기술을 밝히지 않는 게 중요했다. 파악하기 힘든 감정과 ‘촉’이라는 것도 녹여야 했다. 예컨대 누군가 나를 쳐다볼 때 이상하게 잘 알아채지 않나. 그건 뭐 때문일까. 가상의 센서라고 생각했다. 누군가를 생각할 때 몸이 굳는 듯한 긴장감, 설렘, 떨림 등을 파악하는 가상의 센서. 마음의 비밀을 기술이 파악하는 것 정도로 그렸다.

천계영 작가/넷플릭스 ‘좋아하면 울리는’ 제공 © 뉴스1

-기술과 연애감정이라는 다소 어울리지 않는 것의 자연스러운 조합이 새로웠다. 천계영 작가의 ‘기술관’은 뭔가. 기술이 인간과 감정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이라고 보나.

▶기본적으로 나는 기술에 대해 호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기계는 인간을 이해할 수 없어’라는 식의 사람은 아니다. 기술은 늘 자연스럽게 발전해왔던 것이고, 세월이 흐르면서 기술이 뒤로 퇴보한 적은 없지 않나. 예를 들어 우리가 이제 와서 휴대전화가 발명되기 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것처럼. 좋알람이 실제 존재한다면 감정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 같다. 사랑을 몰랐을 때는 신화처럼 신비롭지만, 인간의 마음이 어떤 원리를 통해 연애감정까지 이어지는지 밝혀진다면 나중에는 좋아한다는 것도 무수한 감정 반응 중 하나로 덤덤하게 받아들여질 수도 있을 것 같다.

-실제 있다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트위터하듯이 켜놓고 있지 않을까.(웃음) 우리가 처음에는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 브이로그 낯설었지만 아주 일상적으로 쓰고 있지 않나. 그런 것처럼 자연스럽게 일상에 흘러들어올 것 같다.

-조조(김소현 분)의 성장기, 삼각관계, ‘좋알람’ 세계 등 여러 이야기가 ‘좋아하면 울리는’을 받치고 있다. 어떤 이야기에 중점을 두고 싶었나.

▶깨지지 않는 삼각관계를 그리고 싶었고, 그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 각 인물의 트라우마나 서로를 보듬었던 관계들을 생각했다. 이들의 삼각관계가 끝까지 깨지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세 인물과 관계의 힘의 균형을 제일 중요하게 생각했다. 기존 연애물과 달리 연애감정이 드러나는 과정보다 ‘울리는’ 선명한 순간들을 담는다. 그러면서 감정은 증폭되는 식으로 그리려고 했다.

<[N이사람]②에 계속>

ichi@news1.kr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Scroll to Top
0 %
단 0.18%의 사람이 이 배지를 갖고 있어요.

올라! 유튜브 배지

Love Alarm Webtoon 유투브 채널에서 ‘좋아하면 울리는’ 스페인어 웹툰이 공개되었어요! 스페인어 버전의 ‘좋아하면 울리는’ 웹툰을 보고, 함께 축하해 주세요! 
 ‘LoveAlarm Webtoon’ 채널 ‘구독하기’도 잊지마세요!